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모님 치매 걱정된다면 꼭 읽어야 할 글

by infobox0001-1 2025. 6. 20.
반응형

병원에서 요양하고 있는 노인과 간호사

부모님 치매 걱정된다면 꼭 읽어야 할 글

부모님이 평소와 달리 자주 물건을 잊거나, 반복된 행동을 하신다면 치매 초기증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 건망증과 치매는 구분이 어렵고, 가족이 먼저 그 변화를 인식해야 조기 진단과 치료가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부모님의 행동 변화에서 어떤 신호를 주의 깊게 봐야 하는지, 치매를 의심해야 할 상황, 그리고 가족이 할 수 있는 대응 방법을 실제 사례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이런 행동이 보이면 치매 의심 신호입니다

치매는 서서히 나타나는 병입니다. 당사자는 물론 가족도 처음에는 쉽게 인식하지 못하고 "나이 들어서 그래"라고 넘기기 쉽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행동이 반복되거나 갑자기 자주 나타난다면, 단순 노화가 아니라 치매 초기증상일 수 있습니다.

  • 같은 질문을 반복한다
  • 최근의 일(방문, 식사 등)을 기억 못 한다
  •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이상한 장소에 둔다
  •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인식이 혼란스럽다
  • 금전 관리, 계산이 어려워진다
  • 성격이 예민해지거나 우울한 감정을 자주 표현한다

예를 들어, 냉장고 안에서 리모컨을 발견하거나, 이미 식사했는데도 "밥은 언제 먹냐"고 물으시는 경우 등은 경고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런 행동이 한두 번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관찰된다면 조기 검진을 반드시 받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모님과 치매에 대해 어떻게 대화해야 할까?

부모님에게 치매 검사를 권유하거나 이상 행동을 지적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자칫하면 부모님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거나 관계가 소원해질 수 있습니다. 치매 관련 대화는 섬세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가족이 치매 의심 상황에서 취할 수 있는 대화 방법입니다:

  • "요즘 피곤해 보여요. 건강검진 같이 받아보는 건 어때요?"
  • "엄마가 자꾸 피곤해하셔서 기억도 헷갈리시는 것 같아요. 병원에서 상담 받아보면 좋겠어요."
  • "요즘 누구나 기억력 때문에 상담 받는다고 하더라고요. 우리도 예방 차원에서 가보자고요."

이런 말은 부모님의 감정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병원 상담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비난이 아닌 공감이며, "틀렸다"기보다 "걱정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치매는 조기 발견이 관건이므로, 가족 중 누군가 한 명이 용기 내서 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진단부터 요양 준비까지, 가족이 해야 할 일들

부모님의 치매가 의심되면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계별로 접근하면 효율적이며 부담도 줄일 수 있습니다.

  1. 1단계: 병원 방문 및 진단
    - 신경과 또는 정신건강의학과 방문
    - 인지기능 검사(MMSE), MRI, 혈액검사 진행
    - 치매안심센터에서도 무료 검사 가능
  2. 2단계: 등급 분류 및 공적 서비스 신청
    - 치매로 확진되면 장기요양 등급 신청
    - 요양보호사, 방문간호 등 정부 지원 활용
    - 치매안심센터의 인지 훈련 프로그램 참여
  3. 3단계: 가정에서의 생활 관리
    - 메모 습관, 일정표 활용, 약 복용 체크
    - 익숙한 동선 유지 (물건 배치 변경 금지)
    - CCTV 또는 GPS 기기 활용한 안전 관리
  4. 4단계: 가족의 심리적 케어도 중요
    - 보호자 번아웃 예방을 위한 상담, 커뮤니티 참여
    - 치매가 아닌 ‘질병’임을 인식하고 감정적 거리두기 연습

치매는 가족 전체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환자 관리에 그치지 않고 가족 전체가 함께 대응할 수 있는 정보와 지원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부모님의 치매가 걱정될 때, 조기 대응이 가장 중요합니다. 작은 기억력 저하나 성격 변화도 반복되면 치매의 초기 신호일 수 있습니다. 가족이 먼저 관심을 갖고 따뜻하게 말 걸기부터 시작해보세요. 전문 진단과 공적 서비스를 통해 치료와 생활의 질을 동시에 챙길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치매안심센터나 병원에 문의해보는 것이 예방의 첫 걸음입니다.

반응형